Home
소식/참여
민원(기술민원)/고객제안
자주하는 질문
-
국토안전관리원에 자주 질문하시는 민원들의 사항들을 정리해 놓은 곳입니다.
-
민원 신청 시 일주일정도의 소요시간이 걸리지만 필요하신 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페이지에서 원하시는 정보를 빠르게 얻으실 수 있습니다.
-
1.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계획의 수립ㆍ시행을 위하여 용역을 발주하여 실시하고자 합니다. 이에 대한 용역대가 를 산정하고자 합니다.
1. 용역대가 기준이 있는지? 있으면 자료요청합니다.
2. 용역대가 예시자료가 있는지? 있으면 자료요청합니다.
3. 기타 참고사항이 있으면 참고하겠습니다.
-
질의내용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계획의 수립,시행을 위한 용역 발주”에 관한 것으로 이해(또는 판단) 됩니다. 3. 귀하의 질의사항에 대한 검토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계획의 수립,시행에 관련된 사항은 관리주체가 관할의 구조물별 점검 및 진단 주기에 맞추어 계획을 수립하고, 예산을 확보하는 업무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업무에 대한 용역은 발주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고유업무입니다. 자료나 참고사항은 유사한 관리주체와 협의에 의해 구하고 경험을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 합니다.
-
2. 회사에서 청구계산서가 있어야 교육비의 지출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별도 발행도 가능한가요?
-
▶ 네. 일반적으로 선 입금 후 입교일로 일괄발행 됩니다. (청구)계산서의 경우 별도로 요청하시면 발행해 드립니다.
-
3. 대상사업 부지내 굴착깊이가 다를 경우 지하안전평가 대상여부
-
지하안전법 시행령 제13조(지하안전평가 대상사업의 규모 등)에 의거하여, 공사지역내 굴착깊이가 다를 경우 최대굴착깊이(집수정, 엘리베이터 피트 및 정화조 등의 굴착부분은 제외)를 기준으로 평가대상여부를 판단하시면 됩니다.
-
4. 교량의 콘크리트 바닥판에 대한 상태평가 시
백태는 어떻게 평가해야 하나요?
-
질의내용은 “콘크리트 바닥판 백태 상태평가”에 관한 것으로 이해(또는 판단) 됩니다.3. 귀하의 질의사항에 대한 검토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일반적으로 백태는 균열 및 재료분리 결함부위, 배수구 주변 등의 누수에 의해 발생합니다. 지침에서는 누수 및 백태는 별도로 평가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누수 및 백태는 단독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균열 및 표면손상과 함께 발생하므로 균열 및 표면손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나. 다만 누수 및 백태 부위의 콘크리트가 부풀어오르거나 녹물이 흘러나와 내부 철근의 부식이 의심된다면 철근탐사를 하여 철근의 존재 여부를 파단하고, 철근이 있다면 철근부식 손상면적으로 평가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 합니다.
-
5. 교육비 납부 방법을 현장카드로 선택했다가 가상계좌로 변경도 가능한가요?
-
▶ (집체교육의 경우) 교육 시작 전까지는 가능합니다. 홈페이지 납부 탭에서 변경 선택하시고, 가상계좌 진행하시면 됩니다.
-
6. 대행실적보고는 언제, 어디에 해야하나요?
-
지하안전법 제32조제1항 및 같은법 시행규칙 제14조제1항에 따라 전년도의 지하안전평가등(지하안전평가, 착공후지하안전조사, 지반침하위험도평가)의 대행실적을 지정된 양식(시행규칙 별지 제15호서식)으로 작성하여 다음해 1월 31일까지 국토안전관리원에 보고하여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
7. 안녕하십니까.
교량 내구성능평가 중에 '염화물 확산계수' 산정에 대해서 문의 드리려고 합니다.
성능평가 공통편에 있는 '염화물 확산계수 공식'에서
Cd =깊이 X(cm), 시간 t년에서 염소이온 농도
이 부분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깊이가 어떤 깊이를 말하는거며 깊이 시간 t년에서 염소이온 농도...
Cd에서 가르키는 깊이, 시간, 염소이온 농도 3개가 나오는데 저 3개를 가지고
Cd가 어떻게 나오라는건지 알수가 없네요.
그리고
Cs=표면
-
질의내용은 “염화물침투량”에 관한 것으로 이해(또는 판단) 됩니다. 3. 귀하의 질의사항에 대한 검토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염화물침투량은 15mm 깊이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시험을 합니다. 예를 들면 표면은 0~2mm이고 그 다음부터는 2~15mm, 15~30mm, 30~45mm, 45~60mm, 60~75mm.... 그리고 깊이 x는 15~30mm인경우 (15+30)/2=22.5mm 입니다. x의 단위는 cm로 2.25cm입니다. - Cd는 깊이별로 채취한 시료의 전염화물 침투량입니다. 그리고 t는 준공후 현재 시점까지의 기간(year) 입니다. - Cs는 표면 전염화물침투량으로 0~2mm 깊이의 시험값입니다. 나. 염화물확산계수 - Dd는 염화물확산계수입니다. 공식에서 Cd, Ci, Cs, x, t를 알고 있고, 엑셀에서 오차함수 erf를 포함한 수식을 만들고 Dd는 임의값을 넣어 수식의 값이 만족할 때가지 반복하여 찾는 값입니다. try and error 방법과 유사한 방식입니다. - 지침의 1-126페이지의 교대/교각의 30~45mm의 시료를 예를들어 설명하겠습니다. Cd : 0.8, Ci : 0, Cs : 4.5, t : 20, x : 3.75cm인경우 엑셀에서 수식을 (0.8-0)/(4.5-0)=1-erf(0,3.75/(2*sqrt(Dd*20))) 만들고 Dd는 임의값을 넣어 양쪽값이 같아지는 값이 될때까지 반복하여 구하시면 됩니다. 지침에서는 Dd 값이 0.194입니다. - 30~45mm 깊이의 염화물확산계수 산정하는 엑셀파일을 첨부합니다. 감사 합니다.
-
8. 교육 동영상 다운로드 가능한가요?
-
▶ 교육 동영상 다운로드는 불가하며, 수강 기간 내에는 자유롭게 복습하실 수 있습니다.
-
9. 회원가입 시, 공공기관 등 법인등록번호가 없는 경우 어떻게 하나요?
-
법인등록번호는 필수 입력 사항으로 해당사항이 없는 경우 000000-0000000으로 입력하시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사업자등록번호가 없고 고유번호증만 있는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입력 자리에 고유번호 입력하시면 됩니다.)
-
10. 1. 철근부 염화물함유량이 d로 2.5보다 높게 나온부재에서는 침투량을 구할필요가 있나요?
2.구해야 한다면 유효확산계수가 굉장히 높게 나오고 철근부 전염화물 침투량 Cr이 2.5가 되는 시점을 0년으로 하면될까요?
3. 표면염화물 함유량이 2.5가 넘을시 그값을 표면염소이온농도로 사용해도 되는건가요?
4. 성능평가 세부지침 1-123쪽에 [표 1.109]일반교량의 부재별 가중치에서 해당교량이 일반거더교일 경우 거더와 2차부재에 시험을 하지 않을시 분배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해설>에는 가중치를 부재에
-
질의내용은 “성능평가에서 염화물침투량, 가중치분배 및 교통량”에 관한 것으로 이해(또는 판단) 됩니다. 3. 귀하의 질의사항에 대한 검토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염화물 침투량 - 2.5가 되는 시점과 실제 실험한 값 중 최저등급을 부여하므로 실험결과 2.5이상이면 e등급으로 평가하시면 됩니다. - 표면의 값이 2.5이면 2.5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나. 부재종류별 가중치 - 거더와 2차부재의 시험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바닥판과 하부구조에 각각 50% 씩 분배하시면 됩니다. 다. 교통량 - 본선과 램프의 실제 교통량을 측정하여 본선과 램프의 교통량 비율 만큼 수요예측량을 구하시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 합니다.